부자들은 절대 하지않는 습관
부자들은 하지 않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습관처럼 하는 행동이 있습니다. 바로 비난, 합리화, 불평입니다. 이 3가지는 어렸을 때부터 당연하게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이라고 들었던 것들입니다. 근데 왜 그런지 아시나요? 그냥 부정적인 것들이기 때문에 알고 계실 거예요. 과연, 이 행동들이 도대체 가난과는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이번 포스팅으로 소개하는 책 '백만장자 시크릿'에서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책의 저자 하브 에커는 지금까지 80개국에서 200만 명이 넘는 부자를 양성한 일명 부자들의 멘토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 하나라고 이야기합니다. 부자처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마인드셋이죠.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 3가지 행동은 가난한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이 하는 것들입니다. 그렇다면 이 습관을 가진 사람은 왜 가난에서 벗어날 수 없는지, 반면 부자들은 왜 이 행동을 하지 않는지 지금부터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난
가난한 사람은 부자를 욕 합니다. '운 좋은 사람들', '재수 없는 사람들', '사회의 악'이라고 까지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치 부자들이 자기의 돈을 도둑질한 것처럼 욕합니다. 그런데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자주성가한 부자들은 누구보다 열심히 노려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욕먹을 이유는 없죠. 물론, 태어날 때부터 금수저인 경우도 있지만 그 사람도 가난한 사람의 돈을 빼앗은 건 아닙니다. 그럼에도 돈은 악의 근원이고 돈을 많이 가진 부자들은 모두 욕먹어 마땅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사실 부자를 미워하는 것은 무일푼으로 남는 제일 확실한 방법이다. 부자와 달리 가난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잘 된 이야기를 들으면 그들의 흠을 잡거나 비판하거나 조롱하거나 어떻게든 자기 수준으로 끌어내리려 한다. -백만장자 시크릿 책 내용
부자들은 다른 부자들을 보면서 감탄하거나 칭찬하고 배우려고 합니다. 부자들이 성공한 내적인 전략과 외적인 전략을 보고, 듣고, 배워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성공한 사람의 길을 따라 걷는 것은 맨땅에 헤딩하는 것보다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더 빠르게 갈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생각해 보세요. 공부를 잘하고 싶으면 우리 반에서 공부를 제일 잘하는 친구를 미워하는 게 아니라 그 친구와 친해져야 합니다. 수학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서 풀어나가야 하는지 이해가 잘 안 되는 영어 문법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배워야 합니다. 부자를 욕하는 이유는 자신이 평생 부자가 될 수 없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난 평생 부자 될 수 없어'라는 생각이 무의식, 잠재의식 속에 깔려 있기 때문에 가질 수 없으니 화가 나서 욕하는 것이죠. 만약, 누가 여러분에게 100억이란 돈을 줘서 부자가 됐다고 상상해 보세요. 부자들 욕하고 싶으신가요? 아니 내가 부자인데 부자들을 욕할 이유가 있을까요? 여러분은 결국 부자가 될 것입니다. 여러분이 이 글에 관심을 두고 읽고 있다면 어느 정도 부자가 되고 싶어서일 것입니다. 한 번 외쳐보세요. '난 결국 부자가 될 거야', '부자 마인드셋을 가졌다'라고 스스로에게 한 번 이야기해 보시길 바랍니다.
합리화
가난한 사람들은 합리화를 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자주 하는 합리화는 '돈이 없어서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돈이 충분해지면 관리를 시작해야겠다'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관리하기 시작하면 돈이 충분해질 것이다'라고 말해야 하는 것이 현실적인 정답이다. - 백만장자 시크릿 책 내용
적은 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사람이 충분한 돈이 생겼다고 갑자기 돈 관리를 잘할 수 있을까요? 이 말은 뚱뚱한 사람이 '몸무게가 10kg이 빠지고 나면 운동할 것이고, 식단 조절도 할 거야'라고 이야기하는 것과 같습니다. 복권에 당첨된 사람들이 몇 년이 지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경우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적은 돈을 잘 관리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갑자기 큰돈이 생기니, 제대로 관리할 수 없는 것입니다. 뚱뚱한 사람일수록 더 열심히 운동해야 하고 식단 관리를 해야 합니다. 적은 돈이기 때문에 더 소중하게 다루고 이를 잘 관리해야 불려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직장에 다녀보신 분들이라면 목적에 맞게 예산이 책정된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인건비, 회식비, 마케팅비용, 팀비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정해진 예산이 편성되죠. 그리고 월, 분기, 반기, 연 단위의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목적에 맞는 비용을 사용해야 합니다. 우리의 근로 소득, 즉 월급도 이렇게 매 달 목적에 따라 나눠 관리해야 합니다. 회식비가 떨어지면 어떻게 하죠? 회식을 못하겠죠. 이와 동일한 원리입니다. '이번 달은 와이프랑 외식 많이 했으니까 생활비 통장에 돈이 떨어졌네'라고 다른 목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돈을 가져와서 쓰지 말라는 것입니다. 백만장자 시크릿의 저자 하브 에커는 아주 구체적으로 소득을 총 6개의 통장으로 나눠서 목적에 알맞게 쓰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근로 소득 관리 6개의 통장
- 경제적 자유 통장 10%
- 놀이 통장 10%
- 저축 10%
- 교육 통장 10%
- 생활비 통장 50%
- 나눔 통장 10%
매일 생활비에서 절약한 아주 적은 돈일지라도 경제적 자유 통장에 추가로 넣어두면 된다는 것입니다. 경제적 자유 통장의 목적은 비근로 소득을 만들어낼 수 있는 '투자'입니다. 다음 달부터 시작한다고 이야기하지 마시고 오늘부터 당장 여러분의 예산을 편성해서 돈을 관리하는 법을 연습하셔야 합니다. 이미 가진 돈부터 철저히 관리하면서 부자로 가는 길을 걸어가시길 바랍니다.
불평
가난한 사람이건 부자건 인생에 문제가 없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가난한 사람은 문제 해결보다 '문제 자체'에 집중합니다. 그래서 불평을 늘어놓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문제의 뒤꽁무니를 쫓아다닌다. 불평하고 투덜거리는데 에너지와 시간을 소비하느라 해결책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문제의 재발을 막는 방법을 찾는다는 것은 더더구나 힘들다. - 백만장자 시크릿 책 내용
가난한 사람은 문제에 직면하면 이를 해결하기보다 그냥 불평하기 바쁩니다. 이 문제가 발생한 상황에 대해서 불평하기 시작합니다. 여기서 그냥 끝나면 다행인데 이 문제를 일으킨 사람을 비난하기 시작하고, 결국 '나한테는 왜 항상 이런 일만 일어나지?'라는 생각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이렇게 부정적인 에너지가 가득한 상황에서 뒤늦게 해결책을 찾으려 한다면 괜찮은 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부자들은 왜 불평, 불만을 하지 않을까요? 부자들은 문제 자체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온갖 노력과 정신을 집중합니다. 해답을 찾기 위해 전략을 짜고 계획을 세우고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노력을 기울입니다. 그래서 사실 부자들에겐 문제가 없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냥 해결해야 할 일들이 있는 것이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불평을 막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단, 문제가 발생하면 지금 당장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종이에 적어보세요. 담당자에게 이메일 쓰기, 고객에게 연락하기, 상사에게 보고하기 등 여러 가지가 될 수 있겠죠. 보통 문제 상황을 아주 크게 하나로 바라보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걱정이 되고 그래서 불평이 튀어나오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문제를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일 그리고 그다음에 하는 일들로 순서대로 적어 보세요. 잘게 잘게 쪼개보세요. 생각보다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는 간단할 것입니다. 이메일을 쓰는 것으로부터 시작할 수도 있고 전화를 한 통 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한마디로 정리해 보면 '마인드셋이 전부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자 마인드셋을 갖기 위해 가난한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 3가지부터 무조건 여러분 인생에서 아예 송두리째 뽑아버리셔야 합니다.
부자들은 자기 삶의 결과에 책임지고, '내가 잘되게 만들 거니까 잘될 것이다'라는 마인드로 행동한다. -백만장자 시크릿 책 내용
가난한 사람은 그저 운이 좋아서 부자가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이 생각부터 버려야 합니다. 여러분 인생이 그냥 운에 따라 좌지우지된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여러분이 직접 스스로를 부자로 만드실 수 있습니다.
부자가 되고 싶으면, 당신 삶의 운전대를 쥐고 있다고 믿어라. 내 인생의 운전대, 특히 경제적인 삶의 운전대는 내가 쥐고 있다고 믿어야 한다. 이런 믿음이 없다면 자기 인생을 통제할 능력이 없다고 주저하고 있는 것과 같다. 경제적인 성공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백만장자 시크릿 책 내용
잊지 마세요. 여러분 삶은 여러분이 직접 정하실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