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은 거래소 930개, 코스닥 1,440개로 총 2,370개 정도 됩니다. 누구나 원하는 종목을 선택하여 매수, 매도할 수 있습니다. 투자의 첫 단계는 매수로부터 시작됩니다. 어떤 종목에 투자할지를 먼저 정하고, 얼마나 오래 투자할지, 얼마만큼 투자할지, 언제 매도할지 등을 스스로 판단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그 첫 단계가 매수이고 매수를 하기 위해선 투자 기업을 선정하는 것이죠. 우수 기업을 골라내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필요한지 다루어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

 

투자기업 선정 방법 - 매 분기 상장사의 실적을 체크

상장사가 2300여 개나 되는데 전부를 다 체크할 수는 없습니다. 할 수는 있지만, 그 정도로 할 필요도 없어 보입니다. 제가 볼 때는 개인 스스로의 안목을 믿고, 미래에 성장할 분야를 선정하여 그 해당 분야의 종목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실적을 체크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한마디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합니다. 전업 투자자가 아니라면 그렇게 하는 것이 현명할 것입니다. 그렇게 투자 가능한 분야의 기업을 선택하여 제일 먼저 보아야 할 부분은 실적(매출 및 이익)의 증가입니다. 특히, YoY(전년 동기 대비, Year on Year) 최근  분기 실적의 성장이 높게 발생하는 기업들만을 우선 선정하여 스크리닝 합니다.

상장사들은 해마다 분기별 실적을 전자공시(Dart)를 통하여 공시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정보는 누구나 전자공시 시스템 사이트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실적을 분기별로 파악할 때에는 관심이 가는 기업만 파악해서는 안 되고, 같은 분야의 기업들도 같이 파악하여 실적을 비교·분석하여야 합니다. 자칫 본인이 투자한 기업만이 대단하다는 착각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투자자, 특히 초보 투자자라면 해당 분야의 상장사에 대해 분기별 실적을 점검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투자자라면 나만의 좋은 기업들을 목록화하여 평소에 해당 기업들을 철저히 분석해 놓았다가 해당 기업의 주가 하락 등 매수하기 좋은 여건이 됐을 때 즉시 매수를 단행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갈아타기도 진행해야 합니다. 

관심 분야의 상장사를 살필 때에는 YoY, QoQ 실적 성장이 우수한 기업들을 1차로 스크리닝 하고 리스트에 기록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YoY 대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한 기업만을 선별하는 것입니다. 간혹 매출액은 YoY 대비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해서 선별해서는 안됩니다. 장기적인 성장 추이로 보았을 때 매출액의 성장 없이는 이익만의 성장은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매출액 및 영업이익의 증가율은 얼마나 되어야 하는가?'라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이것은 개인별 기준을 설정하겠지만, 개인적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최소 10% 증가한 기업들을 선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봅니다. 

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

 

투자기업 선정 방법 - 정량적·정성적 분석

1차 스크리닝을 통하여 목록화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진행합니다. 이것이 2차 스크리닝입니다. 1차 스크리닝을 마친 뒤에는 여러분의 목록에는 적게는 수십 개, 많게는 수백 개 기업들이 정리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런 기업들을 대상으로 2차 스크리닝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때의 정량적 분석 방법은 아래 필수 사항들의 적합 여부를 체크하면 되겠습니다.

  1. OCF(영업활동 현금흐름, Operation Activity Cash Flow) 정(+)
  2. FCF(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는 될 수 있으면 정(+)(특별한 경우 부(-)의 수치도 투자 적합으로 간주)
  3. 매출채권회전율이 최근 몇 년 유사하거나 상승 추세
  4. 재고자산회전율이 최근 몇 년 유사하거나 상승 추세

이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기업들만을 모아서 다시 목록을 작성합니다. 만약, 어느 하나라도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그 기업은 제외합니다.

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

 

2차 정량적 분석 확인 방법

2차 스크리닝 작업 중 정량적 분석 4가지 사항을 필수로 체크하는 방법입니다. OCF, FCF가 정(+)인지 여부와 매출채권회전율과 재고자산회전율을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 OCF* 및 FCF** 체크 방법

1. PC에서 국민 포털 사이트 네이버에 접속하여 네이버 증권을 검색하여 들어가 종목명을 검색합니다. 
2. 종목명 검색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종목분석'을 클릭합니다.

3. '종목분석' 클릭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연간'을 클릭합니다.

예로 든 기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OCF)은 2018년 이후 장기간 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FCF(Free Cash Flow)는 2022년까지 정(+)으로 유지되다가 2023년에 부(-)를 기록하여 좀 더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FCF가 부(-)여도 투자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 매출채권회전율 및 재고자산회전율 확인 방법

1. '종목분석' 클릭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투자지표'를 클릭합니다.

2. '투자지표' 클릭 후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면 '활동성'을 클릭합니다.

3. '매출채권회전율' 및 '재고자산회전율' 지표만 확인합니다.

예시의 기업은 '매출채권회전율' 및 '재고자산회전율'이 2022년까지 상승권을 유지하다가 2023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 관점에서 상승 추세를 유지하지 않고 있기에 2차 스크리닝에서 이 기업은 제외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1차, 2차 스크리닝을 거쳐 선별한 투자 가능 기업들의 리스트를 보유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기업들에 당장 투자해도 괜찮을까요? 투자와 관련된 리스크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한두 개의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스크리닝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좋은 기업들의 리스트를 확정하고, 이후에도 해당 기업들에 대해 심도 있는 조사와 분석을 진행해야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추가 스크리닝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주식시장에서 좋은 투자기업 고르기

그럼 이만 글을 줄이며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성투하세요^^

 

2024.06.23 - [주식 정보] - 한국 주식시장에서 좋은 기업 고르기

 

한국 주식시장에서 좋은 기업 고르기

주식 투자를 할 때 우선적으로 기업에 대해서 분석하고 투자를 결심하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선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지요. 주식 투자 관련 책들을 보다 보면

first.goldbitcoinzcash.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