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에 관심이 갖고 거래소를 통해 투자를 시작하게 됩니다. 적은 돈으로 단타를 즐기시는 분들도 있고 목돈으로 장기 투자를 계획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거래소에 코인을 사서 스테이킹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주식처럼 생각하여 거래소에 놓고 수익이 나면 팔 생각에 따로 개인지갑에 옮기지 않고 계신 분들이 다수일 테죠. 저도 어느 정도는 그렇게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코인에 관심을 갖고 메이저 코인 위주로 투자를 하게 되었는데요. 물론 잡코인도 투자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메이저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죠. 우선, 개인 지갑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우선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개인 지갑의 필요성
코인을 사기 위해서는 거래소를 통해서 구매하게 됩니다. 여기서 착각하기 쉬운 것은 주식과 다르게 거래소에서 매수하였다고 해서 본인의 계좌에 안전하게 보관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죠. 이 부분이 주식과 다른 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많은 이슈가 있었겠지만 최근 큰 이슈가 된 건은 바로 FTX 거래소가 해킹으로 당하면서 결국은 사라진 사실입니다. 그러면서 엄청난 악재로 코인 가격은 바닥을 쳤습니다. 그리고 개인지갑이 절실히 필요함을 많은 코인 투자자들이 알게 된 사실이죠. 거래소라고 해서 절대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 입증된 사건입니다. 물론, 일부 투자자는 어느 정도인지는 모르나 투자금의 일부를 돌려받기도 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거래소의 신뢰는 바닥을 쳤고 결국 100% 믿을 수 없다는 사실이죠.
한편으로 '개인지갑이 해킹될 수도 있고, 절차가 복잡하여 분실 위험도 있다'라고 주장하는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저도 어느 정도 공감하는 부분이긴 합니다. 만약, 단타로 적은 돈으로 투자하여 치고 빠지고 하는 분들이라면 개인지갑을 사용할 일이 적을 테지만, 만약 장기 투자자로 오래 묶여두는 성향으로 확신이 있으시다면 개인지갑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어느 거래소에서 해킹이 되거나 정책 변화로 본인의 코인이 거래소에 동결될 수도 있음을 절실히 깨닫게 되면 말이죠.
개인 지갑의 종류
개인 지갑에는 크게 핫 월렛과 콜드 월렛이 있습니다. 우선, 핫 월렛을 살펴보면 이 지갑은 인터넷 등에 연결이 되어있어 온라인상에서 거래를 지원해 주는 개인 지갑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메타마스크, 카카오 클립, 그린 월렛, 블루 월렛 등이 있습니다. 온라인에 연결이 되어있기에 편리하게 보관하고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온라인에 연결이 되어있기에 보안에 취약하여 해킹의 위험이 높습니다. 실제로 유튜브 등을 통해 메타마스크 지갑을 해킹당했다는 동영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또, 잘 알려진 사건으로는 2014년 일본 온라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마운트곡스(Mt.Gox)와 2018년 비트코인 교환 서비스인 코인체크(coincheck)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도난 사건 등이 핫 월렛 해킹사건으로 대표적입니다. 사용은 편하지만 그만큼 보안을 철저히 지키시고 계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콜드 월렛은 인터넷 등에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개인 지갑을 말합니다. 오프라인에서 사용하기에 보안상 해킹 위험이 적고 장기간 관리가 쉽습니다. 하지만 비밀번호나 시드문구를 분실하게 된다면 코인을 찾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핫 월렛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에 개인 지갑으로 장기간 보관을 목적으로 한다면 핫 월렛보다는 콜드 월렛을 추천드립니다. 이것은 사실상 당연한 것이죠. 장기간 보관하려면 보안상 문제가 적은 콜드 월렛을 선호하니까요. 콜드 월렛에는 크게 하드웨어 월렛, USB 월렛, 종이 지갑 등이 있습니다. 우리가 살펴볼 지갑은 하드웨어 월렛, 줄여서 하드월렛을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하드 월렛에는 여러 제품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디센트 지갑, 렛저 지갑, 키스톤 지갑, 제이드, 콜드카드, PASSPORT 등이 있습니다. 제품마다 각각 기능이 조금씩 다르고 특징도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지갑은 디센트이고, 전 세계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하는 지갑은 렛저입니다. 하지만 두 지갑이 이슈가 터지면서 문제가 된 적이 있죠. 저는 키스톤 지갑을 사용 중인데 그냥 제일 디자인이 마음에 들었던 것 같습니다. 알고 보니 중국에서 제작된 것이라고 하네요. 하지만 보안측면에서는 월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나중에 키스톤 지갑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지갑- 콜드 월렛
요즘 다시 비트코인이 우상향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점점 인플레이션을 대체하는 화폐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 세계인들과 월 스트리트 금융가의 눈에 들면서 미국 SEC에 ETF 승인 신청이 된 상태입니다. 그리고 다음 해에는 반감기가 도래하여 반감기 이후에는 뚜렷한 상승세를 점치고 있는데요. 비트코인을 공부하고 확신을 가지는 분들이라면 장기투자를 지향하실 것이고 그러면 개인 지갑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알고 있을 것입니다. 많은 신생 코인도 있지만 모태가 되는 비트코인과 메이저 코인을 담아두고 장기간 보관을 하려는 분들께 콜드 월렛은 당연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저 또한 작년에 이 사실을 절감하고 더 이상 안 되겠다는 생각에 하드월렛 키스톤을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해킹 관련 이슈가 터지니 점점 불안해져서 안 되겠더라고요. 그런 해킹 사실들을 모르고 있을 때는 문제가 안 되겠지만,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를 점점 공부하고 관련 사실들을 알게 되니 콜드월렛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물론 비트코인을 옮기는 과정이 쉬운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유튜브나 인터넷에 나온 절차를 참고하여 한 번이나 두 번 정도 해 보신다면 점점 친숙해지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다음 편에서는 키스톤 지갑을 중심으로 비트코인을 거래소에서 지갑으로 옮기는 내용을 담아보겠습니다. 이만 줄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편 아래에서 확인해 주세요.
비트코인과 콜드 월렛(2)-트래블룰
1부 내용은 아래를 클릭하여 확인해 주세요. 비트코인과 콜드 월렛(1) 암호화폐에 관심이 갖고 거래소를 통해 투자를 시작하게 됩니다. 적은 돈으로 단타를 즐기시는 분들도 있고 목돈으로 장기
first.goldbitcoinzcash.com
'암호화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과 콜드월렛(3) (0) | 2023.12.11 |
---|---|
비트코인과 콜드 월렛(2)-트래블룰 (1) | 2023.11.28 |
비트코인의 떠오르는 친환경 채굴 기술 (0) | 2023.10.07 |
비트코인 창시자의 정체 (0) | 2023.08.23 |
비트코인이 화폐의 대안이 되다 (0) | 2023.08.19 |